자영업자들의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상생협의체가 백여 일, 11차례에 걸친 회의에도 합의안 도출에 실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배달플랫폼-입점업체 상생협의체는 어제 정부서울청사에서 11차 회의를 열었지만 핵심 쟁점인 중개 수수료율 인하 방안에 합의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공익위원들은 오는 11일까지 상생방안을 새로 제출할 것을 쿠팡이츠와 배달의민족에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익위원의 중재안 원칙은 가게 매출에 따라 차등 중개 수수료율을 적용하되, 최고 수수료율을 현 9.8%보다 낮추고, 중개 수수료율이 평균 6.8% 수준을 넘지 않도록 하고, 가게 부담 배달비는 현 수준인 천9백 원~2천9백 원 정액제를 유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 같은 중재 원칙도 입점업체들이 요구하고 있는 2~5% 수수료율보다 높고,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도 서로를 의식하며 높은 중개수수료율과 입점업체 배달비 부담을 늘리는 방안을 고수하고 있어 타결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어제 열린 11차 회의에서 배달의민족은 중개수수료율을 2~7.8%로 낮추되 입점업체 배달비 부담을 최고 5백 원 올려 천9백 원~3천4백 원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배민은 전통시장에서는 중개수수료를 받지 않는 시범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쿠팡이츠가 자사와 같은 수준의 상생방안을 시행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쿠팡이츠는 2~9.5% 수수료율을 제시했고, 기존 천9백 원~2천9백 원인 배달비를 2천9백 원으로 단일화하되 매출 상위 50%는 할증비를 더 부담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상생협의체는 수수료 외에 영수증에 입점업체 부담 항목 표기, 최혜대우 요구 중단, 배달 라이더 위치정보 공유 등 상생방안에 대해서는 타결을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0810003128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